본문 바로가기
- 회사생활이란

젊은 얘들은 중소기업에 안들어오더라??

by 마이브(Maeve) 2024. 5. 4.

 

 

 

안녕하세요. 디자이너 마이브입니다. 저는 현재 프리랜서 디지털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데요. 

작년에 4년정도 다니던 인하우스 회사를 그만두고 홀로서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클라이언트나 저를 찾아주는 사람은 없지만

저의 여정은 계속될겁니다!

 

대기업 공기업에서 공채가 사라지고 경력직만 뽑고 국가 경제가 거의 박살이라고 하는 뉴스에서 취업하기 돈을벌기 참 어려우시죠?

하지만 그래도 중소기업이나 소기업은 안간다고 문제라고 지적하는 언론을 보면서 저도 중소기업 출신이라 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물론 젋은 세대분들이 눈이 높고 기준치가 상향화된건은 어느정도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저희나라 젊은세대들은 아주 수준높고 높은 교육을 받은 세대니까말이죠. 그렇다고 젊은 세대만의 문제일까요?

과연 그들이 중소기업이나 소기업에 간다고 한들 문제가 해결이 될까요?

 

 

1. 기존 직원들이 일하기 정말 싫어하고 아주 불협조 적이다.

 

제가 다니던 회사는 디자인을 하기에 꼰대상사에 사수도 없었고 대부분 연봉이 작아 직원들이 일을하기 굉장히 싫어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들고가면 눈쌀을 찌푸리며 대놓고 싫어하거나 업무가 시작하면 굉장이 하기싫어했습니다.

이런분들은 대부분 2~3년차 정도 되었던 선배분들인데 과연 이분들이 불성실하고 직원으로써 자세가 안되어있는 분들일까요?

 

물론 그럴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연봉, 복지, 대우가 형편없고 이 회사에서 더 나아질꺼라는 희망이 없기때문에 열심히 하지않는것입니다. 회사는 혼자 돌아가는것이 아니라 모든 부서의 팀워크로 매출이 나오는데 어느 부서에 빵꾸가 난다면 당장은 아니지만 아주 중요한 순간에 프로젝트가 늦어지거나 중지될 수 도있습니다. 나혼자 우리팀이 아무리 열심히 발품을 하더라도 다른팀에서 일정을 맞추어 주지않는다면 틀어질 수 밖에없습니다. 일정만 늦어지면 다행이죠. 다른 부서가 매출이 더 높으면 시기질투와 업무방해, 이간질, 정치질까지 이어지는데 이것이 잘 해결되지않고 계속간다면 아무리 일을 잘하는 직원도 일을 잘하면 눈에만 띄고 찍히니 적당히 ~ 대충 ~ 천천히 일을 하게됩니다. 

 

 

 

2. 나와 사수가 연봉차이가 얼마 안날 수 있다. 그러면 전쟁 시작.

 

신입이 들어온들 제대로 인수인계를 해줄까요? 연봉이 작은 회사의 문제점은 최저로 연봉을 맞추어 주기때문에 신입과 연봉 문제로 트러블이 일어납니다. 신입과 연봉 차이가 얼마 안되기때문이죠. 신입을 뽑을때마다 트러블이 발생하게되고 퇴사가 일어납니다. 그러면 신입은 혼자 남아 사수없이 어주바리로 일을 진행하게되죠. 전 퇴사자는 연봉과 복지에 대한 불만으로 인수인계 자료나 필요한 업무 지시사항도 안알려주고 퇴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던가 말던가 너가 경력을 쌓으려면 그냥 버티고 다니면 되는거아니야?

 

 

3. 대표가 부서나 사업 이해도가 떨어진다.

 

뭐 물론 그럴 수 있죠. 내가 전공에 대한 애정과 이해도가 높다면 혼자 매뉴얼을 만들어 일을 진행 하기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된 경우는 대표의 엄청난 지지가 따라주어야 합니다. 먼저 대표가 이 정도까지 해주면 나도 이만큼 처우를 해주겠다라는 제시를 정확하게 해주어야 직원은 그에 이상으로 결과와 매출을 올리기 위해 일을 할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중소기업의 경우 꼰대이거나 국가지원금을 받기위해 어거지로 사업을 늘리거나 부서를 새로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자기도 무슨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할지 투자를 얼만큼 해야할지 본인 자신도 모르는게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 정말로 퇴사하셔야 합니다. 대표 스스로가 사업을 추진하여 직원을 채용해놓고 사업에 대한 방향성과 목표가 없다면 말입니다.

이런경우 다른 부서간섭, 이간질, 정치질이 들어옵니다. 부서 자체가 먹잇감이 되는거죠. 왜 먹잇감이 되냐 ?

아무것도 모르는 대표를 꼬득여서 자신의 능력부족을 가리기 위한 아주 좋은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자신들의 부서 매출 부진을 새로운 부서에 이슈를 발생시켜 떠넘길려고 하는것이죠. 이제 막들어온 신입, 부서들은 사업에 대해 정확한 지시와 목표없이 매뉴얼을 만들어가기 바쁘고 바로 매출을 보여줄 수 없는데 다른 팀의 공격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이죠.

 

 

 

4. 대표의 리더로서의 능력 부재

 

내가 버텨서 이 부서를 매출이 많은 부서로 만들고 내 밑의 직원들을 더 늘려 만들어갈꺼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또한 대표의 지지와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하고 대표와 한몸이 되어 같이 앞으로 나가야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에는 그러한 대표가 없습니다. 그냥저냥 자신의 대우만 받고싶고 하던 버릇을 계속할려고 하지 도전이나 머리를 쓰려 하지않습니다. 말이안된다고요?  새로운 도전과 과감한 투자 그리고 앞의 시장을 내다보는 능력이 있다면 이미 그 회사는 중견이나 촉망받는 중소기업으로 국가에 채택될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중소기업은 그렇지 못하고 은행 대출과 지인들과의 거래로 연명하는 회사가 많습니다.

 

 

 

문제가 많죠 ? 저도 소위말하는 좆소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알게된 뼈아픈 경험입니다. 다른 거래처와 대기업과의 차이 그리고 직원들의 인성 수준등. 회사는 결코 나혼자 잘한다고 내가 못한다고 망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확실한건 다수의 직원들이 같은 목표로 각자 다른 능력을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협업해야 한다는것입니다.

협업이 안되는 회사는 결코 가지마십시오. 대기업, 공기업에서 그렇기때문에 직원 교육 엄청난 투자를 하는것이 이유이기때문입니다.

 

자신이 가고자하는 방향을 더 많이 생각해보고 회사 공고와 사업 추진 목표를 보면서 그저 내가 뽑히려고 노력하는게 아닌 내가 이 회사에 들어간다면 어떤일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며 채용을 하시길 기원합니다.